송서와 양서 백제국은 본디 고구려와 함께 요동의 동쪽 천여 리에 위치했었다. 진(晉)나라 때에는 고구려가 이미 요동을 점령하였고 백제도 역시 요서와 진평 2군을 점거 소유하였다.
통전 백가제해(百家濟海)라는 데에서 백제라고 부르게 되었다. 진(晉)나라 때 고구려가 요동을 취하자 백제도 요서와 진평 두 군을 영유하여 근거지로 삼았으니 유성과 북평 사이에 있다.

 

자치통감 

북위가 병력을 보내어 백제를 공격하였으나 백제에게 패하였다. 백제는 진(晉)대부터 요서와 진평 2군을 차지하고 있었다. 영화 2년 정월, 처음 부여는 녹산 에 거쳐하였는데 백제의 침략을 받아 쇠약해져서 서쪽 연나라 근처로 옮겼으나 방비하지 않았다.

 

만주원류고금주, 의주, 애훈(중국 동해안 지역) 등지가 다 백제다.

 

삼국사기 최치원 열전

 

 

 

 

 

동해 밖에 세 나라가 있는데 고구려와 백제가 강성할 강병 백만을 보유하여 남으로 오, 월을 침범하고 북으로는 유, 연, 제, 노를 흔들어 중국의 큰 좀이 되었다.

 

 

구당서 

 

백제의 영토는 남으로는 바다건너 월주 (越州)에 이르고 북으로는 바다(발해)를 건너 고구려에 이르고, 남으로는 바다를 건너 왜에 이른다. 

북사

백제국이 진대로 부터 시작하여 송, 제, 양대에 양자강 좌우를 차지하고 있었다. 주서 백제국이 양자강 어구의 좌안을 진대로 부터 시작하여 송, 제, 양대에 이르기까지 점령하고 있었고, 후위 때는 중원을 차지했다. 
 

 

------------------------------------------------------------------------------------

 

백제의 대륙진출설 연구
                                                                                                                                                                       김용만
너무 간략하지만, 그래도 대체적인 흐름만이라도 정리해 볼까 합니다.

 

 

1. 신경준 (1770년 與地考, 동국문헌비고에 실림)
최치원이 당나라 대사시중에게 보내는 시에 나오는 백제가 대륙 동해안을 뒤흔들었다는 것에 근거하여 백제의 백제의 요서영유는 사실이며 삼국사기에 기록되지 않은 것은 누락된 것이라고 봄

2. 신채호 (1931년 조선상고사)
근구수왕때 중국의 요서 산동 강소 절강 등의 지방을 점령하였던 것이며 북조계의 사서에 기록이 없는 것은 북조사관들의 태도 때문임, 백제가 멸망할 때에도 요서에 백제군이 있었다고 봄

3. 정인보 (1947년 조선사연구)
3, 4세기 교체기인 책계왕 분서왕대 산동 진출함. 346년 부여를 공격한 여세로 진출 했다.


4. 金庠基 (1967년 百濟遼西經略에 대하여, 백산학보, 3집)
위서의 국서 내용을 다르게 해석하여 488년과 490년 북위와 백제의 전쟁을 적극 해석하고, 한진서 등의
요서부정론에 비판을 함. 백제 근초고왕대 말에도 고구려의 요동진출에 대항하여 이루어진 역사적 사실임

5. 김세익 (1967년 중국 료서지방에 있었던 백제의 군에 대하여, 력사과학 1967년 1기)
(북한의 우리 고대사 인식 2. 서울, 대륙연구소 1991년에 다시 실림)
백제의 요서진출을 3세기 말로 보고, 6세기 초중엽에 걸쳐서 요서지역에 진평군을 두고 다스렸고,
백제군의 위치는 대릉하, 소릉하의 하류유역에서 란하의 하류유역으로 봄.

6. 방선주 (1971년 백제군의 화북진출과 그 배경, 백산학보 11집)
백제의 화북연안 진출설의 방증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5-6세기 화북, 요서 지역의 상황을 밝히는데 주력
화북, 요서연안 지방은 땅은 넓고 인구가 적으며, 한인(漢人)들이 자주 반란을 일으켰는데 이는 백제가 진 출하기에 좋은 기회를 주었다고 본다. 또 북조계 사서에 백제의 대륙진출이 등장하지 않은 것은 위서 등이 본래부터 부실한 자료였기 때문. 부여, 고구려계 유민, 피납민 등이 백제에게 유용했다고 봄.


7. 김철준 (1973년 百濟 사회와 그 문화, <한국고대사회연구>)
송서 양서 백제전의 내용에서 백제가 진때부터 점유했으며, 근초고왕 당시 요서를 점령하면서 백제의 극성기 맞이함. 475년 고구려에 한성이 함락되었지만 중국의 산동이남 지역엔 어느 정도의 영역을 보유했다.

 

8. 이명규 (1981년 백제의 중국대륙에서의 상업적 군사적 활동 배경과 성격, 서울대국사학과석사논문)
이명규 (1983년 백제의 대외관계에 관한일시론, 사학연구37)
상업적, 군사적 조차지적 성격을 가졌다고 주장. - 교과서에 실린 대륙백제의 절충설이 됨

9. 이민수 (1990년 百濟의 遼西經略에 대한 考察, 한사대논문집1,)
당시 중국과 국제정세상으로 충분히 가능한 형태로 봄

10. 강종훈 (1992년, 백제 대륙진출설의 제문제, 한국고대사논총4, 1992년)
긍정론과 부정론에 대한 여러 가지 견해를 소개하고, 쉽게 부정할 수 없음을 거론함.
     강종훈, (2003년, 4세기 요서진출과 그 배경, 한국고대사논총 발표예정)
4세기 백제가 여암 등과 연대하여 요서지역에 진출했다고 주장, 새로운 긍정론.


11. 정겸 (1915년. 梁書夷貊傳地理考證, 절강도서관총서)
양서 백제전 등을 검토하면서 백제가 5세기의 초두에 바다를 건너 점령하였다 함


12. 林壽圖 (1968년 啓東錄 권지1 백제, 중화문사총서지 30.)
중국 측의 사료를 근거로 백제의 영역을 금주(대릉하 하류)로부터 조선의 서남부까지로 비정함

 

13. 井上秀雄 (1972년 古代朝鮮, 일본방송출판협회)
잘못 기록된 것으로만 취급할 수는 없고, 기본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인정.
일시적으로 충분히 가능한 형세이다. <요서방면과 정치적 연계 내지 일부지배의 형태>

 

-----------------------------------------------------------------------------------------------------------------------

 

1. 한진서 (1823년. 해동역사 속편 제8권 백제강역총론)
중국과 백제의 지리적 관계에서 백제의 요서영유는 불합리하다고 판단함.


2. 나가통세 (1919년 朝鮮古史考제13권, <那珂通世叢書>)

동진때 요서는 모용선비의 세력 하에 있었기 때문에 불가능하며 송서의 기록자체는 잘못 전해들은 것임.

 

3. 이홍식 (1973년 梁職貢圖論考, <한국고대사연구> 재 수록, 1965년 고대60주년기념논문집 인문과학편)
양직공도 내용을 소개하면서 그곳에 백제대신에 낙랑이 주체가 됨에 주목. 송서 양서편자가 조선반도의 낙랑과 혼돈한 듯하다고 봄. 고구려가 요동을 지배할 때, 낙랑이 요서 진평군에 있었다고 주장함,
그러나 낙랑기사가 백제에 기록된 것은 이해하기 어려움. 하지만 이후 부정론에 중요한 논거로 작용

4. 김정학 (1981년 百濟と倭國(육전출판사)
백제가 위치하고 있던 지리적 위치에서 용이하지 못함. 특히 帝紀에 없는 점에 주목.
송서의 요서 영유기사는 부여를 잘못 기록한 것임. 송서의 불합리로부터 양직공도에서는 낙랑으로 기록함

5. 유원재 (1989년, 백제약유요서 기사의 분석, 백제연구 20)
(1992년, 위로의 백제침입 기사, 백제연구 23)
(1995년, 백제의 요서영유설, <한국사> 6, 국사편찬위원회, 1995년)
낙랑의 요서교치일 뿐, 백제가 요서를 지배한 것은 아님.
백제 화북지배설이 나온 남제서의 위로 격파는 북위가 아닌 고구려. 가장 강력히 대륙백제 부정.

6. 김기섭 (1997년, 백제의 요서 진출설 재검토 - 4세기를 중심으로 , <한국 고대의 고고와 역사>)
근초고왕이 영동장군령낙랑태수 호로 피봉된 것이 요서경략설의 진원지.
백제의 과장 제스처를 남조에서 사실로 착각한 것. 화북경영설은 언급 없음.

7. 여호규 (2001년, 백제의 요서진출설 재검토 -4세기 후반 부여계 인물의 동향과 관련하여, 진단학보 91)

백제의 요서 진출이 아닌, 부여계 여암이란 자가 반란을 일으켜 일시 요서지역을 차지한 것.


8. 池內宏( 1947년 日本上代史의 一硏究 (중앙공론미술출판 1970판))
490년 백제의 대북위전쟁 기록을 동성왕이 북위의 적국인 남제로부터 관직을 제수받기 위한 것으로 봄

9. 和田博德 ( 1961년 百濟의 遼西領有說, 史學 제25권 제1호)
백제가 요서를 지배하였다는 시기는 모용씨가 지배하던 시기다. 송서 양서 등의 진평군 진평현은 괴이한 곳이며 이는 4, 5세기 고구려 남하로 인한 허설임. 그의 주장이 이후 남제서 등의 색로를 고구려로 보는 주장의 시초가 되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