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방강역고 변천사 | 솟대   

         

 
일심 2008.06.05 17:55  http://blog.daum.net/salvia24/14906004

 

 

아래 아방강역고 초판(1811년)이후 해방전까지 증보및 수정 발행본이력입니다.


중요하지 않은것을 시간만 낭비한 것은 아닌지 모르겠네요.

 

1과 2는 정약용선생이 생전에 간행하신 판본으로 현재 하나도 남아있지 않습니다.


다만, 2(증보)는 규장각에 版心에 '自然經室藏'이 기록된 권4~권6을 모은 필사본 1부(19--년)가 남아 있습니다. 역시 최소 청일전쟁이후 사본입니다. 러일전쟁이후 필사본일 가능성도 매우 높아 보이네요. '自然經室藏'의  뜻을 모르겠습니다. 아시는 분이 리플을 달아주시면 좋겠네요.

 

3은 대략 100여년후 장지연의 황성신문사 간행 판본(1903년)으로 현 규장각에 보관중입니다.

(일제하 조선총독부 기관내 소장)

'대한강역고'라 하여 임나고와 백두산정계비고를 붙였으나 7권(여진.거란.몽고)을 뺀것을 제외하고는 정약용선생의 체계를 그대로 유지하였습니다.

 

이후 '조선총독부'의 금서령과 총독부산하 '조선사편수회' 사서수거령(1910~1937)시 해당사서로 지정되어 탄압을 받습니다.

 

4는 문화정책이후 위당 정인보선생이 세운 '신조선사(新朝鮮社)'에서 다산의 외현손 김성진이 편집하고 정인보.안재홍선생등이 교열에 참가한 여유당전서 수록본입니다.


정인보선생은 1892년생이시고 안재홍선생은 1891년생이니 을사늑약시 14,15세였으니 대한강역고를 보시지는 못하셨겠군요.

 

'신조선사'의 여유당전서는 일제압제하에서도 154권 76책이라는 방대한 출판업적으로 해방후 이를 근간으로 여유당전서의 영인본이 여러출판사에서 나오게 되는 근간이 됩니다.


하지만, '조선총독부'의 자료협조부족이나 강요로 인한 것인지 '아방강역고'의 내용은 정약용선생의 체계도 완전히 뜯어고쳐 4권으로 변경하고 팔도연혁총서고등 없던 항목이 들어가고 상당한 내용이 삭제됩니다.

 

현재, 번역본으로 나온 것도 상당부분 '신조선사'간행 '여유당전서' 수록본을 기반으로 하기때문에 제대로 나온 역본은 '대한강역고'를 기반으로 2004년 범우사에서 출간된 것이 유일한 것 같습니다.

 

솔직히, 한사군에 대한 내용이 정약용 선생이 간행한 그대로인지도 의문이지만 대학자이시더라도 공은 공이고 과는 과이므로 일제가 무단점령기간동안 수많은 조선의 책들중 여기에는 어떤 만행을 또한 저질렀는지 아니며 문제되었던 부분들이 선생의 역사해석의 과오인지 낱낱히 밝혀질 수 있었으면 합니다.

 

1. 1811년 간행 (아방강역고) [정약용(1762~1836)]      > 현재판본없음


{권 1}  조선고·사군총고·낙랑고·현도고·임둔고·진번고·낙랑별고·대방고
           (朝鮮考·四郡總考·樂浪考·玄  考·臨屯考·眞番考·樂浪別考·帶方考)
{권 2}  삼한총고·마한고·진한고·변진고(三韓總考·馬韓考·辰韓考·弁辰考)
{권 3}  졸본고·국내고·환도고·안시고·위례고·한성고(卒本考 國內考·丸都考·安市考·慰禮考·漢城考)
{권 4}  변진별고·옥저고(弁辰別考·沃沮考)
{권 5}  예맥고·예맥별고·말갈고(濊貊考·濊貊別考·靺鞨考)
{권 6}  발해고(渤海考)
{권 7}  여진고·거란고·몽골고(女眞考··蒙古考)
{권 8}  북로연혁고(北路沿革考)
{권 9}  서북로연혁고·부구련성고(西北路沿革考·附九連城考)
{권10}  패수변·백산보(浿水辨·白山譜)


2. 1833년 증보 (아방강역고) [정약용(1762~1836)]     > 현재판본없음(19XX년 필사본1부(권4~권6))


{권 1}  조선고·사군총고·낙랑고·현도고·임둔고·진번고·낙랑별고·대방고
           (朝鮮考·四郡總考·樂浪考·玄  考·臨屯考·眞番考·樂浪別考·帶方考)
{권 2}  삼한총고·마한고·진한고·변진고(三韓總考·馬韓考·辰韓考·弁辰考)
{권 3}  졸본고·국내고·환도고·안시고·위례고·한성고(卒本考 國內考·丸都考·安市考·慰禮考·漢城考)
{권 4}  변진별고·옥저고(弁辰別考·沃沮考)
{권 5}  예맥고·예맥별고·말갈고(濊貊考·濊貊別考·靺鞨考)
{권 6}  발해고·발해속고(渤海考·渤海續考)
{권 7}  여진고·거란고·몽골고(女眞考··蒙古考)
{권 8}  북로연혁고·북료연혁고(속)(北路沿革考·北路沿革(續))
{권 9}  서북로연혁고·서북료연혁고(속)·부구련성고(西北路沿革考·西北路沿革(續)·附九連城考)
{권10}  패수변·백산보(浿水辨·白山譜)


3. 1903년 증보 (대한강역고) [황성신문사/장지연(1864~1921)]   > 1903년 신활자본(9권2책)


{권 1}  조선고·사군총고·낙랑고·현도고·임둔고·진번고·낙랑별고·대방고
           (朝鮮考·四郡總考·樂浪考·玄  考·臨屯考·眞番考·樂浪別考·帶方考)
{권 2}  삼한총고·마한고·진한고·변진고·변진별고·임나고(三韓總考·馬韓考·辰韓考·弁辰考·弁辰別考·任那考)
{권 3}  졸본고·국내고·환도고·안시고·위례고·한성고(卒本考 國內考·丸都考·安市考·慰禮考·漢城考)
{권 4}  옥저고·예맥고·예맥별고·말갈고(沃沮考·濊貊考·濊貊別考·靺鞨考)
{권 5}  발해고·발해속고(渤海考·渤海續考)
{권 6}  북로연혁고(北路沿革考)
{권 7}  서북로연혁고·부구련성고(西北路沿革考·附九連城考)
{권 8}  패수변·백산보(浿水辨·白山譜)
{권 9}   백두산정계비고(白頭山定界碑考)


4. 1936년 여유당전서수록 (아방강역고) [신조선사(新朝鮮社)]


{권 1}  조선고·사군총고·낙랑고·현도고·임둔고·진번고·낙랑별고·대방고·삼한총고·마한고·진한고·변진고
           (朝鮮考·四郡總考·樂浪考·玄  考·臨屯考·眞番考·樂浪別考·帶方考·三韓總考·馬韓考·辰韓考·弁辰考)
{권 2}  변진별고·옥저고·예맥고·예맥별고·말갈고·발해고(弁辰別考·沃沮考·濊貊考·濊貊別考·靺鞨考·渤海考)
{권 3}  졸본고·국내고·환도고·안시고·위례고·한성고·팔도연혁총서상·팔도연혁총서하·패수변·백산보)
           (卒本考 國內考·丸都考·安市考·慰禮考·漢城考·八道沿革總敍上·八道沿革總敍下·浿水辯·白山譜)
{권 4}  발해속고·북로연혁고·북로연혁고(속)(渤海續考·北路沿革考·北路沿革(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