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사>
1088 년 9 월 고려 선종은 태복소경 김선석을 遼나라에 파견하여 그들의 각장 설치계획 파기를 요구하며 다음과 같은 편지를 보냈다.
` 문제를 재삼 제기하는 것이 비록 예절에 어긋나는 번거로운 일이기는 하나 지난날 보낸 글월에서 우리나라 전체 백성들의 의사를 이미 밝혔고, 여러 번 보낸 사절을 통하여 우리의 절박한 사정을 이미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염원을 묵살하니 어찌 다시 말하지 않겠는가. 오늘날 다행히 당신처럼 공정한 임금을 만나 다시 한 번 우리의 심정을 말하노니, 삼가 돌이켜보건대 승천황태후(承天皇太后)가 집정하였을 때에 책명을 보내 관작을 주었으므로 황태후의 성덕을 칭송하고 공물을 보냈더니 우리의 성의를 표창하기 위하여 특전을 베풀어 주었다. 그리하여 요동성 서부는 거란에 붙이고 개사수 동부는 우리의 영토로 확정했던 것이다.
또한 귀국 성종의 통화 12 년(994)에 예방사절을 보냈을 때에 정위 고량이 다음과 같은 천보황제의 조서를 가지고 돌아왔다.
``고려국왕 왕치에게 이 글을 보낸다. 동경 유수 소손녕의 보고에 의하여 당신이 9 월 초에 장정들을 동원하여 성책을 수축하려 한다는 것을 들었는데, 10 월 상순에 벌써 준공했다고 하니 당신은 특출한 재능으로 모든 사물에 정통하며 우발에 대한 태도가 성실하다는 것을 알겠다. 이에 멀리 공물을 보낸다. 금번에 농한기를 이용하여 먼 지방에 있는 장정들을 모아 중요한 나루터에 성책을 쌓음으로써 광막한 들판에 침입하는 도적들을 방비할 수 있게 되었다. 이것은 우리의 이익에 부합되는 일이며, 현 정세에 매우 적절한 조치다. 더군다나 저 여진이 제때에 황하를 입음으로써 나의위신에 눌려 감히 딴 마음을 품지 못하고 있지 않은가. 그 성책 수축 공사를 빨리 끝내도록 노력하여 양국의 영원한 안전을 기할 것이다.``
이 조서의 간곡한 내용을 어찌 꿈엔들 잊을 수 있겠는가. 당시에 우리의 대신 서희가 국경문제를 담당하고 있었으며, 귀국의 동경 유수 소손녕이 명령을 받들고 와서 상의함으로써 각각 양쪽 경계를 맡아서 모든 성들을 구축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우리는 하공진을 압록강 구당사로 안문에 파견하여 낮에는 동쪽 강변을 감시하고 밤이 되면 내성에 들어가 자면서 귀국의 힘을 입어 점차 좀도적이 제거되고, 그 후부터 경비를 하지 않아도 변방 정세가 더욱 좋아졌다.
아직 성종의 조서에 먹도 채 마르지 않았고, 황태후의 자상한 말씀이 어젯일 같은데 갑인년(1014)에는 하천에 선박을 비치하여 통로를 열었고, 을묘년(1015)에는 우리 고을 성내에 들어와 군사를 주둔시켰다. 그리고 을미(1055)에는 궁구란자를 설치하고 정자를 만들었다가 병신년(1056)에 우리의 요구에 따라 철거하고 우리에게 보낸 조서에는 <기타 세세한 문제도 일정한 약속을 지키게 하겠다>는 구절이 있었다. 그런데 또 임인년(1062)에는 의주,선주 남쪽에 매매원을 설치하려고 하였을 때 우리가 여러 차례에 걸쳐 문제를 제기한 즉 기존 시설을 보수하고 새로 설치하지는 않겠다고 하였다. 그러나 갑인년(1074)에 또 다시 정융성 북쪽에 새로 탐수암을 설치하니 우리가 이것의 철훼를 요구하였다. 이에 시설한 지가 이미 오래되었다고 대답하였다.
우리나라가 대대로 귀국을 성의껏 대접하였고, 해마다 사절과 공납을 보냈으며, 몇 번이나 사신을 시켜 글월을 보냈는데 아직까지 탐수암,성책,다리 등 일체 시설을 철폐하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지금에 와서 새로운 시장을 설치하려고 하니, 이는 귀국 선대 임금들의 유지에 어긋나는 것이며 우리의 간곡한 성의를 무시하는 것이다. 이때문에 수천리 길을 우리 사신이 계속 오가며 90 년 동안 가져다준 공납도 보람없이 되었다. 그러니 우리가 어찌 분개하지 않으며, 원망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이제 내가 새로 조상의 뒤를 이은 이래 우발으로서의 임무를 삼가 지키면서 나의 성의를 다하려는 이때, 어찌 사소한 이속을 도모하기 위해 그같은 시설을 경영하고 있겠는가? 영토가 귀국과 연결되어 있어 선린정책을 쓰려고 약속하였지만 이 좁은 지역에 각장을 설치하면 나는 어떻게 행동하란 말인가. 그런 까닭에 글월을 빈번히 띄웠는데도 당신의 동의를 얻어내지 못하였다. 위로는 하늘이 두렵고 아래로는 백성들에게 부끄러울 따름이다. 바라건대 당신은 지방 관리들의 잘못된 의견을 물리치고 우방의 중대한 관심사를 고려하여 우리 백성들로 하여금 들판에서 마음 놓고 농사를 지어 자기 생업에 안착하도록 함으로써 우리 백성들을 경동시키지 않는다면, 당신의 호의를 잊지 않겠다.`
이 편지를 받은 거란은 김선석에게 답신을 주어 고려로 돌려보냈다. 그 회답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각장 설치를 정지하라는 항의서한을 여러 번 받았다. 이 같은 사소한 일로 그렇게 여러 말을 할 까닭이 있는지 모르겠다. 가까운 시일에 적당하게 처리하려고 한다. 더군다나 아직 설치할 기일도 정하지 않았으니 부디 안심하고 성의를 다할 것이며, 심각한 의구심을 풀고 나의 지극한 뜻을 이해하기 바란다.`
거란은 이 편지를 보낸 후 고려 조정을 달래기 위해 사신을 파견하여 양 2천 마리, 수레 23 대, 말 3 필을 보내왔다.
숙종 정축 2년(1097) 12월 계사일에 요나라에서 야율사제(耶律思齊), 이상(李湘) 등을 시켜 왕에게 옥책(玉冊), 옥인(玉印), 면류관, 수례, 장복(章服), 안마(鞍馬), 피륙 등등 물품을 보내왔다. 책문(冊文) 내용은 다음과 같다.
“내가 하늘의 도움과 조상의 유훈으로 천하를 통치한 지가 이미 43년이나 되었다. 안으로 백성을 편안하게 하고 밖으로 제후(諸侯)를 무마하여 다 옳은 길로 나아가게 하였다. 귀국은 동방에 사직(社稷)을 세워 그 지역이 북쪽으로 용천(龍泉)에 다다르고 서쪽으로 압록강에 접하여 있다. 우리의 연호를 물어 가고 공물을 보내왔다. ......"
高麗史 地理一.
○惟我海東三面阻海一隅連陸輻員之廣幾於萬里.高麗太祖興於高勾麗之地降羅滅濟定都開京三韓之地歸于一統. 然東方初定未遑經理至二十三年始改諸州府郡縣名成宗又改州府郡縣及關驛江浦之號遂分境內爲十道就十二州各置節度使. 其十道一曰關內二曰中原三曰河南四曰江南五曰嶺南六曰嶺東七曰山南八曰海陽九曰朔方十曰浿西其所管州郡共五百八十餘. 東國地理之盛極於此矣顯宗初廢節度使置五都護七十五道安撫使尋罷安撫使置四都護八牧. 自是以後定爲五道兩界曰楊廣曰慶尙曰全羅曰交州曰西海曰東界曰北界. 惣京四牧八府十五郡一百二十九縣三百三十五鎭二十九其四履 西北自唐以來以鴨綠爲限而東北則以先春嶺爲界. 盖西北所至不及高勾麗而東北過之. 今略據沿革之見於史策者作地理志.
地理
○王京開城府本高勾麗扶蘇岬新羅改松嶽郡太祖二年定都于松嶽之陽爲開州創宮闕.[會慶殿後改承慶; 膺乾殿改奉元; 長齡殿改千齡; 含慶殿改向福; 乾明殿改儲祥; 明慶殿改金明; 乾德殿改大觀; 文德殿改修文; 延英殿改集賢; 宣政殿改廣仁; 宣明殿改穆淸; 舍元殿改靜德; 萬壽殿改永壽; 重光殿改康安; 宴親殿改睦親; 五星殿改靈憲; 慈和殿改集禧; 正陽宮改書和; 壽春宮改麗正; 朢雲樓改觀祥; 宜春樓改韶暉; 神鳳門改儀鳳; 春德門改棣通; 大初門改泰定; 閶闔門改雲龍; 會日門改利賓; 昌德門改興禮; 開慶門改皇極; 金馬門改延水; 天福門改紫宸; 通天門改永通; 景陽門改陽和; 安祐門改純祐; 左右承天門改通嘉; 左右宣慶門改敷祐; 左右延祐門改奉明; 延守門改敎化; 長寧門改朝仁; 宣化門改通仁; 興泰門改芬芳; 陽春門改廣陽; 大平門改重化; 百福門改保化; 通慶門改成德; 東化門改慶度; 西化門改向成; 大淸門改淸泰; 永安門改興安.] 立市廛辨坊里分五部. 光宗十一年改開京爲皇都成宗六年更定五部坊里十四年爲開城府管赤縣六畿縣七. 顯宗九年罷府置縣令管貞州德水江陰三縣又長湍縣令管松林臨津免山臨江積城坡平麻田七縣俱直隸尙書都省謂之京畿. 十五年又定京城五部坊里[東部坊七里七十曰安定坊奉香坊令昌坊松令坊楊堤坊倉令坊弘仁坊南部坊五里七十一曰德水坊德豐坊安興坊德山坊安申坊西部坊五里八十一曰森松坊五正坊乾福坊鎭安坊香川坊北部坊十里四十七曰正元坊法王坊興國坊五冠坊慈雲坊王輪坊堤上坊舍乃坊師子岩坊內天王坊中部坊八里七十五曰南溪坊興元坊弘道坊鸎溪坊由岩坊變羊坊廣德坊星化坊.]二十年京都羅城成.[王初卽位徵丁夫三十萬四千四百人築之至是功畢. 城周二萬九千七百步羅閣一萬三千*閒大門四中門八小門十三曰紫安曰安和曰成道曰靈昌曰安定曰崇仁曰弘仁曰宣旗曰德山曰長覇曰德豐曰永同曰會賓曰仙溪曰泰安曰鸎溪曰仙嚴曰光德曰乾福曰昌信曰保泰曰宣義曰狻猊曰永平曰通德. 又皇城二千六百*閒門二十曰廣化曰通陽曰朱雀曰南薰曰安祥曰歸仁曰迎秋曰宣義曰長平曰通德曰乾化曰金耀曰泰和曰上東曰和平曰朝宗曰宣仁曰靑陽曰玄武曰北小門. 一云丁夫二十三萬八千九百三十八人工匠八千四百五十人城周一萬六百六十步高二十七尺厚十二尺廊屋四千九百一十*閒.] 文宗十六年復知開城府事都省所掌十一縣皆屬焉. 又割西海道平州任內牛峯郡以隸之. 忠烈王三十四年設府尹以下官掌都城內別置開城縣掌城外. 恭愍王七年修松都外城恭讓王二年分京畿爲左右道以長湍. 臨江免山臨津松林麻田積城坡平爲左道; 開城江陰海豐德水牛峯爲右道. 又依文宗舊制[文宗二十三年正月以楊廣道漢陽沙川交河高峯豐壤深岳幸州海等州見州抱州峯城金浦陽川富平童城石泉荒調黃魚富原果州仁州安山衿州南陽守安交州道永興兎山安峽僧嶺朔嶺鐵原西海道延安白州平州俠州新恩牛峯通津安州鳳州瑞興等州縣屬京畿.]以楊廣道漢陽南陽仁州安山交河陽川衿州果州抱州瑞原高峯交州道鐵原永平伊川安峽漣州朔寧屬左道以楊廣道富平江華喬桐金浦通津西海道延安平州白州谷州遂安載寧瑞興新恩俠溪屬右道各置都觀察黜陟使以首領官佐之.王都鎭山松嶽[一名崧岳巓有神祠.]又有龍岫山進鳳山東江[在貞州.]西江[卽禮成江.]碧瀾渡屬郡一縣十二.
開城府
惟我海東三面阻海一隅連陸輻員之廣幾於萬里.高麗太祖興於高勾麗之地降羅滅濟定都開京三韓之地歸于一統.然東方初定未遑經理至二十三年始改諸州府郡縣名成宗又改州府郡縣及關驛江浦之號遂分境內爲十道就十二州各置節度使.其十道一曰關內二曰中原三曰河南四曰江南五曰嶺南六曰嶺東七曰山南八曰海陽九曰朔方十曰浿西其所管州郡共五百八十餘.東國地理之盛極於此矣顯宗初廢節度使置五都護七十五道安撫使尋罷安撫使置四都護八牧.自是以後定爲五道兩界曰楊廣曰慶尙曰全羅曰交州曰西海曰東界曰北界. 惣京四牧八府十五郡一百二十九縣三百三十五鎭二十九其四履西北自唐以來以鴨綠爲限而東北則以先春嶺爲界.盖西北所至不及高勾麗而東北過之.今略據沿革之見於史策者作地理志.
王京 開城府 本高勾麗扶蘇岬 新羅改松嶽郡 太祖二年定都于松嶽之陽爲開州 創宮闕.
○開城縣本高勾麗冬比忽新羅景德王十五年改爲開城郡.顯宗九年罷開城府置開城縣令管貞州德水江陰三縣直隸尙書都省.忠烈王三十四年以開城府掌都城內別置開城縣掌城外.有井名曰大井[世傳懿祖娶龍女初到開城山麓以銀盂掘地水隨涌因以爲井.]有歧平渡.
---------------------------------------------------------------
세종실록 지리지 / 평안도
지리지 / 평안도
평안도(平安道)
대천(大川)은 대동강(大同江)이니, 곧 옛 패강(浿江)이다.【《문헌통고(文獻通考)》에 이르기를, “평양성(平壤城) 동북쪽에 노양산(魯陽山)이 있고, 노성(魯城)이 그 위에 있으며, 서남쪽 20리에 위산(葦山)이 있는데, 남쪽으로 패수(浿水)에 임(臨)한다.”고 하였다. 】또 왕성강(王城江)은【중사(中祀)에 실리어 있다. 】그 근원이 둘이 있으니, 그 하나는 희천군(熙川郡) 가막동(加莫洞)에서 시작하여 묘향산(妙香山) 동쪽을 둘러서 덕천(德川)·개천(价川)·순천(順川)·은산(殷山)·성천(成川)·자산(慈山)을 지나 강동(江東)에 이르고, 그 하나는 양덕현(陽德縣) 북쪽 문음산(文音山)에서 시작하여 곡산(谷山)·수안(遂安)·상원(祥原)·삼등(三登)을 지나 강동(江東)에 이르러서, 두 갈래의 물이 합류(合流)하여 평양부(平壤府) 지경으로 들어가서 성(城) 동쪽을 안고 흘러 대동강(大同江)이 되고, 9리를 더 가서 마둔진(亇屯津)이 되었으니, 옛 이름은 구진 익수(九津溺水)이다.【소사(小祀)에 실리어 있다. 】모두 배가 있어서 사람을 건네준다. 강서(江西)를 지나 용강현(龍岡縣) 남쪽에 이르러 바다로 들어간다.
청천강(淸川江)은 안주(安州)에 있는데, 살수(薩水)라고도 한다.【곧 수나라 장수[隋將] 우문 술(宇文述) 등이 패(敗)한 곳이다. 】그 근원은 희천군(熙川郡) 옛 영원진(寧遠鎭)으로부터 나와서 강계(江界) 적유현(狄踰峴)의 물과 합하여, 희천군 동쪽 묘향산을 둘러서 영변(寧邊) 동쪽을 지나, 주성(州城) 북쪽에 이르러 청천강이 되고, 안융(安戎)5187) 노근강(老斤江)을 지나 바다로 들어간다.【소사(小祀)에 실리어 있다. 】
박천강(博川江)은 박천(博川)에 있는데, 옛 이름은 대녕강(大寧江)이다. 그 근원은 삭주(朔州) 천마산(天磨山)으로부터 나와서 태천(泰川)·운산(雲山)·영변(寧邊)을 지나, 군(郡) 옛성[古城] 서쪽에 이르러 박천강이 되어 안주강(安州江) 하류로 들어간다.
압록강은 의주(義州) 서쪽에 있는데, 옛 이름은 청하(靑河), 또는 용만(龍灣)이라고도 한다. 그 근원은 백두산(白頭山)으로부터 나와서 수백여 리를 흘러 함길도 갑산군(甲山郡)을 지나고, 여연(閭延)·강계(江界)·이산(理山)을 거쳐서 독로강(禿魯江) 물과 합하여, 벽동(碧潼)·창성(昌城)·소삭주(小朔州)를 지나, 주(州)의 성(城) 서쪽에 이르러 압록강이 되고, 암림곶(暗林串)을 지나 바다로 들어간다.【중사(中祀)에 실리어 있다.
'조선 역사 > 문헌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경준 (0) | 2020.12.21 |
---|---|
<강역고/백산보> (0) | 2020.12.21 |
연행 육로- 이긍익의 <연려실기술> (1) | 2020.12.21 |
신채호 <조선혁명선언> (0) | 2019.05.01 |
<고려사><신증동국여지승람> (0) | 2019.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