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도전에 관한 박선미의 논문에서 명도전이 출토된 지역과 그 수량을 표시한 명세입니다.
북경 4,553
하북성 59,245
내몽고 218
대릉하 684
요하 2,601
요동반도 857
압록강유역 21,730
-----------------------------------------------------------------------------
Re:<명도전 분포에 대한 의문>
명도전은 연 소왕 이후 본격적으로 통용되기 시작한 모양입니다. 그러나 그 지리적 분포 양상에는 많은 의문이 생깁니다. 우선 중국에서 명도전이 발견되는 위치입니다. (출처 : http://2126088.blog.sohu.com/116694931.html ) 據不完全統計,現已發表的明刀共出土近200起,其中以北京市出土最多,以下依次爲河北省、內蒙古、遼寧省、天津市,另外吉林、陝西、山西、河南等省也有出土。現將考古發掘中發現的各地區出土燕國明刀的地點,列舉如下:? 北京市:朝陽區、海澱區、豐台區、崇文區、西城區、宣武區、懷柔區、順義區、通州區、房山區、平穀縣、密雲縣、延慶縣、昌平區、大興區;? 河北省:易縣燕下都、石家莊、灤平、承德、滄縣、容城縣、灤南縣、蔚縣、興隆、平山縣;? 內蒙古:赤峰、涼城、敖漢旗、包頭市;? 遼寧省:撫順、錦州、鞍山、遼陽、西豐縣、朝陽、大連、義縣、鐵嶺、遼中縣、瓦房店市、金縣;? 天津市:寶坻、靜海縣;? 吉林省:輯安;? 山西省:山陽、永濟、盂縣、原平;? 河南省:鄭州;? 陝西省:鹹陽。? 약 200곳에서 명도전이 발견되었는데 북경-하북성-내몽고-요녕성-천진시의 순서로 출토되었고, 그외 길림, 협서, 산서, 하남 등지에서도 출토되고 있다고 합니다. 이 자료 (믿을 수 있는 것인지 의문이 가지만)에 의하면 박선미박사의 하북성>북경>압록강>요하연안>요동반도>대릉하>내몽고의 자료는 잘못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문제는 '연나라가 발행하여 통용된 화폐라면 당연히 연과 접한 조, 제나라 지역에서 더 많이 발견되어야함에도 불구하고 연과 적국의 관계(소왕이후)였을 동호(내몽고)와 조선(요하동안, 압록강)에서 더 많이 발견되는 것을 어찌 설명해야하는 것인가' 라는 점입니다. 지금까지 밝혀진 지리적 분포양상이라면 1. 명도전은 연이 동북민족과의 거래를 위해 만든 특별한 화폐인가? 2. 명도전은 동북민족이 연과의 거래를 위해 만든 특별한 화폐인가? 라는 두가지 상황을 가장 먼저 고려해야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또 한가지 제가 인용한 자료에 보이는 산동지방에서 발견되는 제명도(齊明刀)는 과연 연이 제나라를 5년간 지배했던 시기의 유물일까요("留循齊五年”之遺物)? 제가 막연히 추축하기에는 이 제명도 또한 동북민족이 제와 교역하기 위해 만든 또 다른 명도전이 아닐까 라는 생각도 드는데 이 가설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요하, 압록강 연안의 명도전 중 제명도가 있어야만 하므로 이 부분에 대해 알려진 바가 없는 현재까지는 타당성이 없다고 추정됩니다. 따라서 명도전을 동북민족이 만들었다는 가설 또한 배제됨이 옳을 것 같습니다. 그럼 명도전은 연이 동북민족과의 교류를 위해 만든 특별한 화폐이고, 제명도는 제나라에서 사용하던 연나라 화폐라는 소리가 되는데 한나라에서 동시에 두가지 화폐를 시용한다는 것이 가능한 일인지????? 고수 여러분의 지도편달 바랍니다. |
'조선 역사 > 고조선.왕검조선.부여.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왕검조선의 도읍 아사달,백악산아사달,장당경 위치 추정 (1) | 2023.10.05 |
---|---|
`요하문명`이 아니라 `조선朝鮮문명`입니다 (0) | 2023.09.16 |
김종서, 日帝가 신시·고조선 적통 이은 400년 북부여 역사도 말살 (0) | 2023.08.21 |
고죽국과 관련한 신용하의 주장을 비판함 (1) | 2023.06.28 |
대한大韓 고대국 강역과 도읍 (1) | 2023.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