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적도(禹迹圖)
남송(南宋, 1126~1279)때인 1136년에 만들어진 것으로 화이도(華夷圖)와 함께 중국의 현존 최고(最古)의 고지도이다.
1933년경에 제작된 아래 탁본은 미,의회도서관 소장품이며,석각본은 중국 섬서성 서안의 비림(碑林)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다.
아래의 탁본은 미, 하버드대학 도서관 소장본으로 19c말경 제작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 지리도
標題 : 蘇州府學四圖碑(墜理圖)
年代 : 南宋,淳祐7年(1247)11月
탁본 소장 : 京都大學所藏
석각비 소장 : 소주(蘇州) 석각 박물관
특징 : 소주부학 4도비(蘇州府學四圖碑)란 남송,소주부에서 제작된 [天文圖, 墜理圖, 帝王紹運圖,
平江圖 ] 네개의 도비(圖碑)를 말하는 것으로 아래 지도는 그 중, 지리도이다.
* '墜理圖'의 '墜'는 '地'의 고어로 '추리도'가 아닌 '지리도'라 읽어야 한다.
복원도 : 출처 www.coo2.net


- 거란지리지도(契丹地理之圖)
남송(南宋)의 섭융례(葉隆禮)가 저술한 거란국지(契丹國志)에 수록
- 조선도
1621 년 명인 모원의가 편찬한 <무비지>에 실림

- 해운도

- 요동변도
- 주해도편(籌海圖編)》
사해(辭海)에서는 이 책에 대해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
"책이름이다. 명나라 호종헌(胡宗憲)이 제(題)하여 편찬되었고, 그의 막료 정약증(鄭若曾)의 손에서 나왔다. 13권이다. 명대의 왜구(倭寇)를 방어한 일을 기록하였다. 가정(嘉靖) 때의 사건을 중심으로 위로는 명초 및 명이전의 중·일(中日)의 교통상황까지 소급하였다. 처음에 연해(沿海)와 일본지도(日本地圖)·일본사략(日本史略)을 배열하고, 계속해서 분성어왜사의(分省御倭事宜)와 연표(年表)·구종도보(寇踪圖譜)를 열거하였고, 다시 중대한 전쟁과 재난을 당한 사적을 기록하였으며, 경략(經略)으로 끝을 맺고 있다. 용병(用兵)·성수(城守)·초무(剿撫)·호시(互市) 등에 대해서도 모두 상세하게 기록하였다. 부록으로 연해 포방시세(布防時勢) 및 전선(戰船)·무기(武器) 등의 상세도면이 있다."(하정농 주편, 《사해(四海)》(축인본), 상해사서
- 여지전도
- 요양총도

-

- 광여도/여지총도
1566 주사본 간행 http://cafe.daum.net/oldkoreanhistory/OOHA/41

- 화이도


도리진
강해전도 1812~43
- 각성연해구애전도(各省沿海口隘全圖)
제작자 : 청(淸), 진매(陳枚).
제작년 : 淸,乾隆52年至嘉慶17年間(1787-1812)
형태 : 두르마리, 비단바탕에 채색, 크기 31cm X 773cm
소장 : 대만국립고궁박물원.
이 지도는 각성연해구애전도(各省沿海口隘全圖)라 이름 붙혀져 있으며 청나라 궁정화가 중의 한 사람으로 청명상하도(淸明上河圖),경직도(耕織圖)등을 그린 진매(陳枚)가 제작한 것이다.원래는 한폭의 두르마리 형태이나 웹 게시를 위해 임의로 분리한 것이며,1번도의 요동반도,발해만,산동반도를 시작으로 11번도에 교지(交趾:월남 하노이의 옛 이름)와의 경계에 이르는 해안과 포구, 섬(島)들을 그렸느며,말미인 12번도에서 15번도에는 해남도(海南島)와 팽호열도(澎湖列島)를 그렸다.
(各省沿海口隘全圖,絹本彩繪,長卷,本圖卷首北起盛京(今遼寧),南至交趾界(今越南),範圍包括中國沿海七省。地圖方位上西下東,陸地在上,海洋在下,視點由海上望向陸地,對行政區域、地理景觀、海防資訊描述詳細,輔以文字敍述行船須知、海防守則。卷末繪有海南島、臺灣和澎湖。)
(이하 이미지 확대 : 클릭)
1.
'조선 역사 > 고지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한도/양수경의 <역대연혁도> (2) | 2024.06.09 |
---|---|
가칭<백산대맥도>,<조선여진분계도> 등 (1) | 2024.06.08 |
성경지여전도.경판천문도.건륭부청주현도 (0) | 2023.03.12 |
기욤,라페루즈,당빌,sduk,존두워 (0) | 2022.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