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조선.조선.부여.韓/문헌자료

<遼史><金史><대명일통지><明史><淸史稿>

덕림석 2023. 1. 5. 17:17

-----------------------------------------------------------------------------------------------

 ‘조선영토 남북사천리’

중국의 명청(明淸, 1368~1910)시대를 대표하는 모든 총서 사서 지리지에는 조선 영토를 ‘동서 이천리, 남북 사천리(東西二千里 南北四千里)’로 기록되어 있다. 그중에서 대표적인 문헌을 12개만 골라 시대 순으로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①『대명일통지(大明一統志)』(1461) ② 『수역주자록(殊域周咨录)』(1574) ③ 『함빈록(咸宾录)』1598, ④ 『황명경세문(皇明經世文)』 (1643) ⑤『명사기사본말(明史紀事本末)』(1658) ⑥『대청일통지(大清 一統志)』 1743, ⑦『사고전서(四庫全書) 조선부(朝鲜赋)』(1781) ⑨『사고전서 외사이관고총서(外四夷馆考总叙)』(1781) ⑩『사고전서 정계양잡저(鄭開陽雜著) 조선도설(朝鮮圖說)』(1781) ⑪ 『광여도전서(廣輿圖全書)』(1785) ⑫『동번기요(東藩纪要)』 (1882)

--------------------------------------------------------------------------------------------------

奉天府  總督兼將軍 民政提法交涉度支 鹽運司勸業道 副都統駐 順治十四年四月 於盛京城內置府 設府尹

 

위 문구에 나오는    은 청나라 옹정제 때 광서포정사의 상소에 따라 전국의 주,현을 沖.繁. 疲. 4종류로 나누어 그 지역 관리를 뽑을 때 참고.

교통이 빈번한 곳을 이라 하고,

행정업무가 많은 곳을 이라 하고,

세금으로 받는 쌀 체납이 많은 곳을 라고 하고,

풍속이 불순하고 범죄사건이 많은 곳을 이라 표시함.

봉천부는 4가지가 모두 해당되므로 상당히 크고 번잡한 곳이라는 뜻.

-------------------------------------------------------------------------------------------------------------------------

 

<요사/지리지>

耀州 ...本渤海椒州 故縣五 椒山.貉領.기泉.尖山.巖淵 皆廢 戶七百 隸海州 東北至海州二百裏 統縣一 巖淵縣 東界新羅 故平壤城在縣西南 東北至海州一百二十裏

요주...본래는 발해 초주였으며 초산.맥령.기천.첨산.암연현 등 5 개 현을 설치하였는데 지금의 모두 폐현되었다. 호 수는 700 호이며 요주는 해주에 예속.통제를 받는다. 동북쪽으로 200 리 떨어진 곳에 해주가 있으며 속현은 하나로 암연현을 설치했는데 (암연현의) 동쪽 경계 바깥은 신라 땅이다. 옛 평양성은 암연현 서남쪽에 있고 (옛 평양성에서?) 동북쪽으로 해주까지는 120 리다. 

<요사/지리지> 상경도

上京道上京臨潢府 本漢遼東郡西安平之地 新莽曰北安平

<금사/지리지.동경로>

東京路, 府一, 領節鎮一, 刺郡四, 縣十七, 鎮五. 【皇統四年二月, 立東京新宫, 寢殿曰保寧, 宴殿曰嘉恵, 前後正門曰天華 曰乾貞. 七月, 建宗廟, 有孝寧宫. 七年, 建御容殿.】 
遼陽府, 中, 東京留守司. 本渤海遼陽故城, 遼完葺之, 郡名東平. 天顯三年, 陞為南京, 府曰遼陽. 十三年, 更為東京. 太宗天㑹十年, 改南京路平州軍帥司為東南路都統司之時, 嘗治於此, 以鎮髙麗. 【後置兵馬都部署司, 天徳二年, 改為本路都總管府, 後更置留守司. 産 白兎 師姑布 䑕毫 白鼠皮 人參 白附子.】 戸四萬六百四. 縣四, 鎮一.  遼陽. 【倚. 東梁河, 國名烏勒呼必喇(兀魯忽必剌), 俗名太子河.】 鶴野. 鎮一. 【長宜, 哈斯罕在其地】 宜豐. 【遼舊衍州安廣軍, 皇統三年廢為縣. 有東梁河】 石城. 【興定三年九月, 以縣之靈巖寺為巖州, 名其倚郭縣名東安, 署行省.】
澄州, 南海軍刺史, 下. 本遼海州, 天徳三年改州名. 户一萬一千九百三十五. 縣二,鎮一.  臨溟. 鎮一 【新昌】. 析木. 【遼銅州廣利軍 附郭 析木縣也, 皇統三年廢州來屬. 有沙河.】 
瀋州, 昭徳軍刺史, 中. 本遼定理府地, 遼太宗時置軍曰興遼, 後為昭徳軍, 置節度.明昌四年, 改為刺史, 與 通 貴徳 澄 三州皆隸東京. 户三萬六千八百九十二, 縣五. 樂郊. 【遼太祖俘三河之民建三河縣於此, 後改今名. 有渾河.】 章義. 【遼舊廣州, 皇統三年降為縣來屬. 有 遼河 東梁河 遼河大口.】 遼濵. 【遼舊遼州東平軍, 遼太宗改為始平軍, 皇統三年廢為縣. 有遼河. 】 挹樓. 【遼舊興州興中軍常安縣, 遼嘗置定理府刺史於此, 本挹樓故地, 大定二十九年章宗更名. 有 范河 清河國名奎必喇(叩隈必喇).】 䨇城. 【遼䨇州保安軍也, 皇統三年降為縣, 章宗時廢.】
貴徳州, 刺史, 下. 遼貴徳州寧逺軍, 國初廢軍, 降為刺郡. 戸二萬八百九十六. 縣二.貴徳 【倚. 有范河.】 奉集 【遼集州懐逺軍奉集縣, 本渤海舊縣. 有渾河】 
葢州, 奉國軍節度使, 下. 本髙麗蓋葛牟城, 遼辰州. 明昌四年, 罷哈斯罕, 建辰州遼海軍節度使. 六年, 以與陳同音, 更取蓋葛牟為名. 户一萬八千四百五十六. 縣四 鎭二. 湯池. 【遼鐵州建武軍湯池縣】 鎮一【神鄉】 建安. 【遼縣】 鎮一【大寧】 秀巖. 【本大寧鎮, 明昌四年陞. 太和四年廢為鎮, 貞祐四年復陞置.】  熊岳. 【遼盧州玄徳軍熊岳縣. 遼屬南女直湯河司】 
復州,下, 刺史. 遼懷逺軍節度, 明昌四年降為刺史.【舊貢鹿筋, 大定八年罷之.】 戸一萬三千九百五十. 縣二 鎮一. 永康【倚舊名永寧大定七年更】 化成【遼蘇州安復軍本髙麗地興宗置皇統三年降為縣來屬貞祐四年五月陞為金州興定二年陞為防禦】 鎮一【歸勝】 
來逺州下舊來逺城本遼熟女直地大定二十二年升為軍後為州 
國初置統軍司天徳二年置總管府貞元元年與海蘭路總管竝為尹兼本路兵馬都總管【此路皆明安戸】 

<명사/지리지>

北平行都指揮使司

本大寧都指揮使司 洪武29年9月置 治大寧衛 ...領衛10.....西南距北平布政司八百裏

북평행도지휘사사 본래 대녕도지휘사사였고 1396년9월 설치. 대녕위에 치소가 있으며...10 개 위를 통령하고...서남쪽으로 북평포정사까지 거리는 800 리이다.

大寧衛...治大定縣 ...洪武20年8月置衛 9月分置左右中三衛 尋又置前後2衛 28年4月改左右後3衛爲營州左右中3護衛...南有土河...

대녕위...대정현에 치소가 있고...1387년8월 설치하였고 9 월에 좌.우.중 3 개 위를 설치하였다. 얼마 후 또 전.후 2 개 위를 치하고 1395년4월 좌.우.후 3 개 위를 영주 좌.우.중 3 개 호위로 개칭하였다...남쪽에 토하가 있다.

會州衛   洪武20年9月置 永樂元年廢...西北有馬孟山...土河之源出焉 下流合於근河 又南入於遼水...

회주위 1385년9월 설치하고 영락원년에 폐했다...서북쪽에 마맹산이 있고...토하의 발원지이며 하류에서 근하로 합쳐지고 또 남쪽으로 흘러 요수로 들어간다.

 

營州中屯衛 元龍山縣屬大寧路...永樂元年3月徙治平穀縣西屬大寧都司 南有柳河...

영주중둔위   원시기 용산현으로 대녕로에 속했다...영락원년3월 평곡현 서쪽으로 옮기고 대녕도사에 속하게 했고 남쪽에 유하가 있다.

營州前屯衛 元興州屬上都路...南有老河 源出馬孟山流經此 又經行都司城南 東北入於潢河...

영주전둔위 원시기 흥주이며 상도로에 속했다...남쪽에 노하가 마맹산에서 발원하여 전둔위를 지나 행도사성의 남쪽을 지난 후  동북쪽으로 흘러 황하로 합쳐진다.

 

遼東都指揮使司 元置遼陽等處行中書省 治遼陽路 弘武4年7月置定遼都衛...8年10月改都衛爲遼東都指揮使司治定遼中衛...東至鴨綠江...西至山海關 南至旅順海口 北至開原...京師1700裏

요동도지휘사사 원시기에 요양등처행중서성을 설치하고 요양로에 치소를 두었는데 1371년 7 월 정요도위를 설치했다...1375년 10 월 도위를  요동도지휘사사로 개칭하고 정요중위에 치소를 두었다... 동쪽으로는 압록강, 서쪽으로는 산해관까지, 남쪽으로는 여순해구,북쪽으로는 개원까지를 통령했다... 경사까지는 1700 리 떨어져 있다.  

定遼中衛    ...治遼陽縣...西南有首山南有千山 又東南有安平山山有鐵場 又西有遼河自塞外流入至海州衛入海 又西北有渾河 一名小遼水 東北有太子河一名大梁水又東梁水 下流俱入於遼水 又東有鴨綠江東南入海 又東有鳳凰城在鳳凰山東南  成化17年築爲朝鮮入貢之道 又南有鎭江保城 又連山關亦在東南

정요중위  ...요양현에 치소를 두었고...서남쪽에는 수산이, 남쪽에는 천산이 있다. 또 동남쪽에는 안평산이 있는데 철장이 있다. 또 서쪽에는 요하가 새외에서 흘러와 해주위에 이르러 바다로 들어간다. 또 서북쪽에는 혼하 일명 소요수가 있고 동북쪽에는 태자하 일명 대량수.동량수가 있는데 하류에서 모두 요수로 합쳐진다. 또 동쪽에는 압록강이 있는데 동남쪽으로 흘러 바다로 들어간다. 또  동쪽에는 봉황성이 있는데 봉황산 동남쪽에 있다. 성화 17 년 조선의 입공로를 지키기 위해 쌓은 성이다. 또 남쪽에는 진강보성이, 또 연산관도 동남쪽에 있었다.

철령위 洪武二十一年三月以古鐵嶺城置 二十六年四月遷古嚚州之地 卽今治也 西有遼河 南有泛河 又南有小淸河 俱流入於遼河 ...東南有奉集縣 卽古鐵嶺城也 接高麗界 ... 南距都司二百四十裏

홍무 21 년 3 월 옛철령성에 설치. 26 년 4 월 옛 은주땅으로 옮김. 곧 지금의 치소다. 서쪽에는 요하가 있고 남쪽에는 범하 또 소청하가 있는데 모두 요하로 흘러든다. ... 동남쪽에 봉집현이 있는데 옛 철령성이며 고려와 경계다. ... 남쪽으로 도사(요양현)까지는 240 리 떨어져 있다.

蓋州衛 屬遼陽路 洪武四年廢 ... 東北有石城山 ... 又東有駐蹕山 西濱海 有連雲島 上有關 又東有泥河 ... 又西北有梁房口關 海運之舟由此入遼河 旁有鹽場 又東有石門關 西有鹽場 東有鐵場 北距都司二百四十裏

 

 

<청사고/지리지>

 

1914년 중화민국 국무원은 청사관을 개관하여 자오얼쉰[趙爾巽]을 관장으로 삼고 커사오민[柯劭忞]·우팅셰[吳廷燮]를 비롯해 68명의 학자에게 편찬을 맡겼다. 주로 〈명사 明史〉의 체재를 모방했다. 1917년 장쉰[張勳]의 복벽사건(선통제 푸이를 옹립하여 청조 회복을 기도한 사건)으로 여러 달 폐관되었다가 다시 재개되었다. 이후 국가 재정의 궁핍으로 경비가 삭감되고 편찬관도 줄어드는 등 우여곡절을 겪은 끝에 1927년 8월 불완전하나마 완성되었다. 기간은 15년 걸렸지만 실제로 사업을 벌인 기간은 10년도 채 되지 않았다. 교간 사업 도중 자오얼쉰이 병으로 죽자 커사오민이 관장대리가 되었는데, 도리어 위안진카이[袁金鎧]의 심복으로 입관한 진량[金梁]이 실권을 장악했다. 진량은 시국의 혼란을 틈타 독단적인 전횡을 일삼아 비난받았다.

 

직예

北至內蒙古阿巴噶右翼旗界 一千二百裡 東至奉天寧遠州界 六百八十裡 南至河南蘭封縣界 一千四百三十裡 西至山西廣寧縣界 五百五十裡     

保定府...直隸省治..東北距京師350裡

順天府 明初曰北平府 後建北京 復改 自遼以來皆都此 正統6年始定曰京師 領州6縣25...

순천부 명초에는 북평부라 하였고 후에 북경을 건설하고 이름을 다시 고쳤다. 요 이래 모두 이곳에 도읍하였다. 1441년 비로소 경사라 정하였다. 주와 25 현을 통령했다.
  密雲...府東北130裡...縣南密雲山 東九松山舊曰九莊嶺 西有沽河自欒平入...是爲白河...潮河亦自欒平入...俗亦潮? 古北口

            關  副都統巡司駐...
밀운... 순천부 치소에서 동북쪽 130 리 떨어져 있고 현 남쪽에는 밀운산, 동쪽에는 구송산 즉 옛 구장령이 있으며 서쪽에는 고하가  란평에서 흘러온다...백하라 하며...조하 역시 란평에서 흘러오고...세상에서는 조백하라 한다. 고북구관이 있는데 부도통.순사 주재

獨石口 明初爲開平衛  順治初爲上北路 隸宣府鎭 東北二百五十裡 康熙中置縣丞 曰獨石口...東南有大小石門山太保山白河古沽水...下流會潮楡諸水爲北運河  上都河古濡水 出口東北巴顔屯圖固爾山 合三道河 西北入多倫口下流爲란(水+欒)河至樂亭入海 行二千一百裡有奇...

독석구  명나라 초기에는 개평위였었고 순치(1644~1661) 초에는 상북로 선부진에 속하여 (선부진에서) 동북쪽으로 250 리 지점에 있다. 강희(1662~1721) 중 현승을 두었었고 독석구라 하였다. ... (독석구의) 동남쪽에는...백하 곧 옛 고수가 있고...하류에서 조하.유하 등과 합하여 북운하로 불려진다. (또) 상도하가 있는데 옛 난(濡:머리감을 난,젖을 유로 읽지 않는다)수인데 ... 다륜에서 삼도하와 합쳐지고 아래로 흘러 란하로 불리며 낙정현을 지나 바다로 들어간다. 길이는 2100 리다. 유기(? 기이하다? 2100 리가 의심된다?)

 

승덕부  ...康熙42年(1702) 建避暑山莊於熱河...西南省治780裡...熱河古武列水...欒河自欒平入合之...란평현  府西南60裡 ... 西림계...西北欒河自豊寧入...潮河自豊寧入 西南沽河自獨石口入...평천현  府東150裡 ...老合河古託紇臣水 俗省曰老河 出喀喇沁右翼南190裡永安山 亦曰察罕河 與...又東北合昆都倫河 入建昌大寧城東北80裡...

 (평천현에 흐르는)노합하는 객라심우익 남쪽 190 리 떨어진 영안산에서 발원하여... 동북쪽으로 흘러... 대녕성 동북쪽 80 리  떨어진 건창현으로 흘러 들어간다.

  풍녕현  府西北260裡...東有熱河西源...北上都河自多倫口入 納小欒河 曰란(水+欒)河...潮河古혁(水+血)水 一曰飽丘水...

  란평현  府西南60裡 ... 西림계산...西北欒河自豊寧入...潮河自豊寧入 西南沽河自獨石口入...

 

조양부 ... 明 營州衛...置朝陽縣 光緖30年(1904)以墾地多熟 升府 以建昌隸之... 西南距省治1420裡... 西北潢河自內蒙古阿魯科爾沁旗入 西南大凌河自建昌入 合南土河 逕西平房西 左合卑克努河 察罕河 又東合布爾葛蘇台河 又東至龍城 曰三座塔城 左合固都河 凉水河至金敎寺東北 左合土河 入盛京義州            

...명 시기엔 영주위가 설치되었고... 조양현을 설치하고 1904 년엔 땅을 개간하여 수확이 늘자 부로 승격시키고 건창현을 속하게 하였다. ... 서남쪽으로 직예성 치소인 보정부까지는 1420 리이며...서북쪽 내몽고 아로과이심기에서 황하가 흘러들어 오고,  서남쪽 건창현에서는 대릉하가 흘러와 남토하와 합치고 서평방 서쪽을 지난다. 왼쪽으로는 비극노하 찰한하 또 동쪽으로는 포이갈소태하와 합쳐 동쪽으로 흘러 일명 삼좌탑성인 용성에 이르며 왼쪽으로 고도하 양수하가 흘러들고 금교사 동북쪽에 이르러서는 왼쪽으로 토하와 합쳐진 후 성경 즉 봉천성 금주부 의주로 흘러든다.
  건창현  府西南260裡... 東有布古圖山 漢白狼山 白狼水出焉 今曰大凌河 ... 東入朝陽... 北有潢河自赤峰 會老哈河 自平泉入 合伯

               爾克河 錯出復入 英金河亦自縣來會 復合落馬河 東北至穀口 乾隆8年(1743) 更名敖漢玉瀑 與潢河 東入朝陽  柳邊北首朝

               陽 訖臨楡 ...           

조양현에서 서남쪽으로 260 리 떨어져 있다. ... 동쪽에 포고도산이 있는데 한 시기 백랑산이며 백랑수가 발원하는데 지금의 대릉하이다. ... 동쪽으로 흘러 조양으로 들어가며 ... 북쪽에 적봉으로부터 황하가 흘러들어와 평천에서 흘러오는 노합하와 합쳐지고 백이극하와 합쳐지며 여러 갈래로 갈라져 흐르다가 다시 합쳐진다. 영금하도  적봉현에서 흘러오며 락마하와 합치고 동북쪽으로 흘러 곡구에 이르며 1743 년 오한옥폭으로 개치되었고 황하로 흘러든 후 동쪽으로 흘러 조양으로 들어간다. 유변 지역의 북쪽에는 조양으로 흘러들고 남쪽은 임유현으로 물이 모인다.

적봉직예주 ...西南距省治1320裡...領縣1 潢河自圍場入 州北200餘裡之巴林旗 東南老哈河 自平泉逕東南隅 納伯爾克河 入建

               英金河古饒樂水...           

...서남쪽으로 직예성 치소인 보정부까지는 1320 리이다. ... 거느리는 현은 하나이다. 황하는 적봉에서 북쪽으로 200 여리 떨어진 파림기 위장에서 흘러오며 동남쪽에는 평천 동남쪽에서 발원하여 백이극하를 받아들인 노합하가 있는데 북쪽으로 흘러 건창현으로 흘러들어간다. 영금하는 옛 요락수인데... 

 

영평부 ...西距省治830裡... 

  노룡 東南陽山 西南孤竹城 欒河自遷安入合靑龍河

  천안 府西北40裡 ...欒河自承德府入 合黃花川河瀑河 又南 左得鐵門關水入潘家口古盧龍塞也 ...

  임유 府東北170裡 ... 以明山海衛置山海關 今東問古楡關 ...北有角山 長城枕其上...

  창려 府東南70裡 ...欒河自欒州入

  란주 府西南45裡 ...欒河自盧龍入

  락정 府南少東120裡 ...欒河自昌黎入

 

奉天省

금주부...省西南490裡...

  금현... 附府...東大凌河 西小凌河 右受女兒河 皆南入海...

  의주    府北90裡 ...大凌河導源直隸朝陽 東流入邊 逕州北 屈南流入錦縣

  영원주 府西南100裡

 

봉천부...奉天省治 西南距京師1470승덕...渾河在南...

    요양...府南120裡...北太子河...

    철령...府北130裡...遼河在西...

흥경부

   臨江縣   府東南 590 里 明 鴨綠江部 光緖 28 年 分通和縣地 設治帽兒山 置縣隸興京同知

봉황성직예구

수암주岫巖州 口西北一百八十裡 ... 南羅圈背嶺 西北分水嶺 ... 北偏嶺口莽溝接海城

長白府   省東南 980 里 明 建州衛地 鴨綠江部 光緖 33 年 分臨江縣及吉林長白山北麓地 設治塔甸 置府

   安圖縣   府東北 400 里 明 建州左衛地 宣通元年 以府東圖們江源地 設治紅旗河口 置縣隸府 長白山在西

吉林省

延吉府    省東南 760 里 東南路道駐 明錫燐布爾哈通愛丹3衛 靑初 爲南荒圍長 光緖 7 年 弛墾 置延吉口 宣通元年 和龍縣 省東南800里

             明새金河衛地 光緖 11年吉.韓通商 和龍谷與光齋谷西步江互市 28年置分防經歷 屬延吉 宣通 2年改隸東南路道

연길은 길림성 치소에서 동남쪽으로 760 리 지점에 있고, 동남로도가 주재하며, 명나라 시기에는 석린.포이합통.애란 3 위 지역이였다. 청 초기에는 남쪽 황위장이라 이름하였고 광서 7 년(1882 년)에 개간을 시작.허락하며 연길구를 설치하였고, 선통 원년(1909년)에 부로 승격시켰다

敦化縣 省東南 470 里 古邑婁國 明建州左衛 後屬窩集部之赫席赫路 淸始朝居鄂多리(口+里)城 卽此 初爲額穆赫索羅연地 光緖 8 年 建新城置 隸吉林 宣統元年 改隸東南路道  

돈화현 (길림)성 치소에서 동남쪽으로 470 리 떨어져 있고 옛 숙신국 땅이다. 명나라 시기에는 건주좌위 땅이였고 후에는 와집부 혁석혁로에 속했다. 청나라 시조가 거처했다는 악다리성이 바로 이곳이다. 초에는 액목혁색라연 땅이라 했다. 광서 8 년(서기 1882 년)에 신성을 축성하여 현을 설치하고 길림(府)에 예속시키고 선통 원년 (서기 1909 년)에 동남로도에 고쳐서 예속시켰다.

 

청사고

다른 표기 언어 Ch'ingshihkao , 淸史稿                        

536권. 24사(史)를 이을 계획으로 관(官)에서 편찬한 기전체의 청조사이다.

1914년 중화민국 국무원은 청사관을 개관하여 자오얼쉰[趙爾巽]을 관장으로 삼고 커사오민[柯劭忞]·우팅셰[吳廷燮]를 비롯해 68명의 학자에게 편찬을 맡겼다.

주로 〈명사 明史〉의 체재를 모방했다. 1917년 장쉰[張勳]의 복벽사건(선통제 푸이를 옹립하여 청조 회복을 기도한 사건)으로 여러 달 폐관되었다가 다시 재개되었다. 이후 국가 재정의 궁핍으로 경비가 삭감되고 편찬관도 줄어드는 등 우여곡절을 겪은 끝에 1927년 8월 불완전하나마 완성되었다. 기간은 15년 걸렸지만 실제로 사업을 벌인 기간은 10년도 채 되지 않았다. 교간 사업 도중 자오얼쉰이 병으로 죽자 커사오민이 관장대리가 되었는데, 도리어 위안진카이[袁金鎧]의 심복으로 입관한 진량[金梁]이 실권을 장악했다. 진량은 시국의 혼란을 틈타 독단적인 전횡을 일삼아 비난받았다.

원본에 의해 활자가 인쇄된 것을 관내본이라 하고, 진량이 일부를 고쳐서 인쇄한 것을 관외본(위본)이라고 한다. 양자는 모두 본기 25권, 지(志) 142권, 표(表) 53권, 열전 316권으로 이루어졌는데 내용에 차이가 적지 않다. 본문만 비교해 보아도 관외본은 장쉰·장뱌오[張彪]·캉유웨이[康有爲]의 3전을 추가하고 예문지 서문을 바꾸었으며, 다른 곳에서도 차이가 있다.

--------------------------------------------------------------------

청사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십사사이름저자권수
사기 전한·사마천 130
한서 후한·반고 100
후한서 유송·범엽 120
삼국지 서진·진수 65
진서(晉書) ·방현령  130
송서 ·심약 100
남제서 양·소자현 59
양서 당·요사렴 56
진서(陳書) 당·요사렴 36
위서 북제·위수 114
북제서 당·이백약 50
주서 당·영호덕분  50
수서 당·위징  85
남사 당·이연수 80
북사 당·이연수 100
구당서 후진·유후  200
신당서 ·구양수  225
구오대사 송·설거정  150
신오대사 송·구양수 74
송사 ·토크토  496
요사 원·토크토 등 116
금사 원·토크토 등 135
원사 ·송렴  210
명사 ·장정옥  332
신원사* 중화민국·커샤오민  257
청사고* 중화민국·자오얼쑨  536
v  d  e  h

청사고(淸史稿)는 중국 신해혁명에 의한 중화민국 성립 후 조이손(趙爾巽)이 중심이 되어 약 100여명의 학자들과 함께 편찬한 이십사사를 잇는 청나라 1대를 다룬 기전체 역사서이다. 이십오사, 이십육사라고 칭하는 경우에는 이 책이 포함된다. 여기에서는 청나라 원고를 바탕으로 전후 중화민국의 국민정부에 의해 편찬된 청사 및 중화인민공화국이 새롭게 편찬을 한 청사도 있다.

개요[편집]

전서 536권으로 본기 25권, 지 142권, 표 53권, 열전 316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청 태조 누르하치가 건국 즉위 한 1616년부터 신해혁명으로 청조의 막이 내리는 1911년까지의 합계 296년에 이르는 역사가 기록되고 있다(다만, 관외책은 일부의 권의 첨삭을 해 529권으로 재편되었다). 특징적인 면으로서 방교지(邦交志)나 교통지(交通志)가 들어가 있다. 다만, 편찬시의 사회적 혼란으로부터 침착한 편찬을 하지 못했고 잘못된 부분이 있고, 한편으로, 혁명 후도 자금성 등에 남겨진 행정 자료 등이 귀중한 내부 자료로부터의 인용도 포함되어 있어 평가가 나뉘고 있다.